23.07.12 04:47최종 업데이트 23.07.12 04:47
  • 본문듣기

2013년 3월 20일, 노회찬 당시 진보정의당 공동대표가 부산 대청동 카톨릭센터에서 열린 시사토크 <정희준의 어퍼컷>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 정민규

 
초등학교 때 장래 희망으로 '제20대 민주노동당 국회의원'이라고 써냈다. 담임 선생님조차 영문 모를 꿈이었는데 나라고 내 말을 제대로 이해했을 리 없다. 그 와중에 민주노동당을 콕 집어 얘기한 건 아마 노회찬 의원 때문이었을 것이다.

결국 '노회찬 같은 사람이 되고 싶어요', 라는 말을 그리 한 것이다. 내 꿈이 이뤄지지 않은 건 국가적으로 다행한 일이나 이제 노회찬이 그리움의 대상으로만 남은 건 애석한 일이다.


"왜 조그만 진보 정당에 들어갔니?"라는 질문에 수십 번을 답했지만 실은 조금씩 거짓을 보탰을 뿐이다. 가장 솔직한 답은 '노회찬을 좋아해서'이다. 열일곱에 강연회에서 노회찬을 실제로 처음 본 날, 그가 있다는 '진보신당'에 입당했다.

그 후로 15년간 진보 정당원으로 지냈다. 그 시간 동안 진보 정당은 여러 부침을 겪었다. 많은 사람들이 모였다가 흩어졌고, 노회찬도 떠났다. 그럼에도 노회찬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꿈까지 버리는 건 힘들었다. "당은 노회찬의 확장된 자아였다(<노회찬 평전>, p.554)." 정의당에 있겠다고 결심했다.

나는 노회찬이 우리 사회에 뿌린 '진보 정치'의 양분을 먹고 자란 수만 명의 사람 중 하나일 뿐이다. 1992년생인 내게 노회찬은 너무도 까마득한 존재이다. 그와 삶을 함께했던 많은 동지들과 달리 나는 노회찬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 단지 노회찬이라는 사람이 남긴 말들과 삶의 족적에 감화되었을 따름이다. 그러니 진정한 '노회찬 정신'이 무엇인지 정의하는 것도 내 능력 밖의 일이다.

함부로 '노회찬'을 호명하는 사람들
 

책 <노회찬 평전> ⓒ 사회평론

 
다만 노회찬의 어린 팬으로서 여전히 욕망하는 게 있다면, 그의 이름이 제멋대로 소비되는 것에서 그를 조금이나마 지키고 싶다는 것이다. 그는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드는 일, 그것을 가로막는 부당한 억압과 착취를 근절하기 위해 싸우는 일(위의 책, p.479)"을 업으로 삼았다. 착취 없는 평등한 세상을 만들겠다는 비현실적인 진보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대중 정치를 선택한 현실주의자였다. 그리고 자신의 가치를 비장한 혁명적 언어에 가둔 게 아니라 대중의 삶에 가닿기 위한 말과 유머를 갈고 닦은 사람이었다. '불판 교체론', '6411 버스'는 그의 정신을 대표한다.

또한 그는 명실상부 독립적 진보 정당의 주창자였다. 인류가 지금까지 만들어 낸 가장 나은 사회는 북유럽 복지국가 모델이고, 그 모델은 진보 정당의 오랜 집권으로 가능했다는 믿음에서였다. 그런 선택으로 말미암아 그는 칭송과 저주를 동시에 받았다.

2010년 진보신당 서울시장 후보로서 선거를 완주했을 때, 한명숙 후보를 떨어트린 주범으로 낙인찍힌 노회찬은 민주·진보 유권자들에게 지극한 저주를 받았다. 노회찬 정신의 상징 중 하나인 6411번 첫차를 탄 것이 바로 이때였지만, 그런 노회찬 정신에 주목하는 사람은 당시 거의 없었다. 승자와 패자만 있는 제도 정치 내에서 '노회찬 정신'을 포기하라는 종용이 있었을 뿐이다.

노회찬 정신에서 어떤 가치를 발견하는지는 각자의 몫이다. 나는 다만 '노회찬 정신'을 이야기할 때 그의 삶 전반과 그가 지향한 가치를 더욱 면밀하게 들여다보는 진중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2004년 "불판을 갈 때가 왔다"는 말로 벼락스타가 되어 대중 정치인으로 살아온 시간보다 더 오랜 기간, 그는 이 땅의 진보 정치와 진보 정당 건설을 위해 삶을 갈아 넣었다. 그렇기에 '독자 완주', '단일화' 같은 특정 전술로서만 그의 정신을 이해하는 것은 협소하다. 더더욱이 자신의 허물을 감추기 위해 노회찬을 끌고 오는 것은 그에 대한 모욕이다.

노회찬의 길, 정의당의 길  
 

서울 마포구 노회찬재단에 고 노회찬 전 의원의 생애에 중요한 순간들을 이창우 화백이 그림으로 그려 전시되어 있다. ⓒ 유성호

 
그래서 <노회찬 평전> 출간 소식이 더욱 반갑다. 노회찬 정신은 아무래도 다른 누구보다 노회찬 당신에게 있을 것이다. 그의 삶과 말에 침잠할 기회가 생겨 감사하다. 브리핑을 쓰다 막힐 때면 '노회찬 어록'을 펴서 하염없이 들여다본다. 그의 탁월한 비유에 매번 감탄하지만, 그보단 그런 말을 하기까지 그의 고민과 고뇌가 무엇이었을지 떠올리는 게 내겐 더 절실하다. 허나 언제나 잡힐 듯 잡히지 않는다. 내 브리핑은 노회찬에게 닿기 위한 무수한 실패의 잔여물일 따름이다.

"정의 없는 정의당", "노회찬 정신 실종된 정의당", 흔한 비판이지만 익숙하다고 해서 아픔이 무뎌지는 건 아니다. 그 비판들이 가슴 아프게 다가오는 건 그것이 온전한 거짓만을 담고 있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는 충분히 정의로운가. 노회찬이 꿈꿨던 세상을 만들기 위해 우리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가. 어려운 상황에 있는 정의당을 보며 노회찬은 우리 스스로를 끊임없이 되묻게 만든다.

그러나 오늘의 어려움이 우리의 길을 포기하라는 뜻으로 해석되는 건 옳지 않다. 노회찬이 견뎌온 수많은 고난과 역경을 생각해 볼 때, 우리에겐 그가 진보 정당을 개척할 때보다 더 많은 자원과 기회가 있다. 민중을 향한 헌신과 평등한 세상을 위한 그의 노력을 가슴에 품은 채 맹렬하게 나아가야 할 따름이다.

"나는 지금 여기서 멈추지만, 당은 당당히 앞으로 나아가길 바란다." 그의 마지막 말에 수많은 사람들이 무너져 내렸다. 그러나 당당히 나아가라는 것도 그의 주문이었으므로, 나를 포함한 수많은 당신의 팬들이 또 동지들이 여전히 정의당을 지키고 서 있다. 당당하게 나아갈 것을 기꺼이 각오하고 있다. 그가 살아남은 자들에게 남긴 책무이다. 우리는 어둠을 향해 돌진한다. 내가 아는 노회찬 역시 그런 사람이었다.
덧붙이는 글 글쓴이 이재랑은 정의당 대변인입니다.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1,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취재후원

독자의견


다시 보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