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인터넷내용등급제를 반대하기 위한 새사회연대 이창수 대표의 무기한 단식농성에 시민사회단체들의 지지성명이 잇따르고 있다.

가장 먼저 지지의사를 밝힌 민주노총은 지난 11월 30일 성명을 통해 "인터넷 내용 등급제와 정보통신윤리위원회는 이 땅의 정보민주주의를 파괴하고, 정보통신공간을 국가의 절대적인 통제아래 놓으려 하고 있다"고 규정하고 "이러한 검열은 지난 95년 한국통신 파업 당시 CUG 폐쇄와 지난 상반기 대우차 투쟁 당시 홈페이지 폐쇄 시도에서 보았듯이 노동자를 억압하는 기구로 작용할 것이라는 것이 너무도 자명하다"밝혔다.

문화개혁을위한시민연대는 30일 "정보통신윤리위윈회에서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는 픽스용 차단 소프트웨어는 기본적으로 등급을 달지 않은 미등급 홈페이지는 청소년유해매체물과 마찬가지로 취급되어 차단된다(현재 차단소프트웨어를 설치한 컴퓨터에서는 거의 모든 홈페이지가 접속이 되지 않는다. 심지어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정보통신부 홈페이지도 차단된다)"고 지적하고 "기술적인 방식으로 인터넷을 차단하는 것은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가 아니라 국민의 인터넷 접속점을 차단하고 통제하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광주인권센터는 1일 "인터넷에 대한 공권력의 검열과 규제시도는 민주적 소통공간에 대한 탄압이며 국민들의 표현의 자유와 양심의 자유, 사상의 자유, 알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국가테러"라고 밝히고 "'유해매체표시제'든 '내용등급서비스'든 국가에 의해 강제되는 모든 등급체계에 반기를 들자"며 "정통윤을 폐지하고 그 역할을 민간에서 대신하는 논의를 시작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인권운동사랑방은 1일 인터넷내용등급제에 대해서 "미국의 파상공격에 쑥대밭이 된 아프간의 악몽을 인터넷상에서 떠올리기에 충분하다"며 이창수 대표의 무기한 단식농성에 대해 "정통윤의 모든 검열행위를 반대하고, 나아가 정통윤 폐지를 위해 결사항전에 나서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사)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은 3일 "문화예술 컨텐츠가 점점 더 디지털화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인터넷내용등급제는 새로운 예술창작의 가능성을 말살하는 것에 다름이 없다"고 비판했다.

새사회연대 이창수 대표는 지난 11월 27일부터 정보통신부 앞 단식농성을 시작하여 오늘까지 7일째 강행하고 있는 한편 명동성당 앞에서는 지난 10월 22일 시작한 시민사회단체 릴레이 1인 단식농성이 혹한에도 불구하고 43일째 계속되고 있다.

반면 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윤리위원회는 이들 단체의 의견을 기술적으로 오해한 일부 젊은이와 시민단체들의 의견으로 치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시민사회단체들의 계속적인 반발을 사고 있는 시점이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